본문 바로가기
명리이론

사주의 궁위 - 간지오의

by tao12345 2022. 5. 20.

십신, 궁위, 간지는 명리에서 상을 취하는 세가지 조건, 즉 상수학의 좌표와 같다.

 

사주구조의 관점

 

좌우구조 - 년월과 일시

 

사주구조의 관점에서 보면, 년월이 일가이고, 일시가 일가이다. 월은 년을 따라 일어나고, 시는 일을 따라 일어나기 때문이다. 년월은 공전이고, 일시는 자전이다.

 

년월을 빈으로 정하고, 일시를 주라고 정한다.

빈은 외인이나 외변의 사물, 다른 사람의 재물을 대표한다. 

주는 나와 나의 사람이거나 나 자신의 재물이다.

 

내외구조 - 월일과 년시

 

사주구조의 또 다른 관점은, 내와 외의 구분이다. 월일은 안이 되고, 년시는 밖이 된다. 안과 밖의 의미는 예를 들어 가게를 할 경우, 안에 있는 물건을 가지고 밖으로 나가 팔아야 하는데, 만약 안과 밖의 구조가 사주에 없다면 가게를 낼 수가 없을 것이다.

 

안과 밖은 또한 포국일 때에 쓰임이 있다. 포국은 일반적으로 밖에서 안을 감싸는 것이다. 포국의 본래 뜻은 외변이 안을 둘러싸서 회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책임자라면 한 무리의 사람들이 내 주위에서 에워싸고 있을 경우, 나는 주변 사람의 말을 듣고서 업무를 정도에 맞게 처리해야 할 것이다. 다른 비유로는, 한 사람이 감방으로 들어가면 외변의 흉살이 안을 포위하여 도망가지 못하게 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명리에는 이처럼 안과 밖, 즉 내외의 구조와 좌우의 구조가 있으며, 물론 구조가 없는 것도 있다. 

 

시간, 공간, 육친, 신체, 인물, 물건과의 관계

 

궁위와 시간과의 관계

 

년에서 시로 흘러가는데, 시간의 순서로는 어려서 늙음에 이르거나, 먼저 와서 뒤에 이르는 순서이다.

년은 어린 시절과 소년의 시절이고, 월은 청년의 시절이며, 일은 중년, 시는 노년이 된다.

아내가 언제 나타날 지를 찾는다면, 선후의 순서를 년에서 시로 가면서 봐야 하고, 년월 먼저이고 일시가 늦은 것이다. 

 

 

궁위와 공간과의 관계

 

공간적으로 보면, 년은 먼 곳이다. 출국에 적합한 지 아닌지를 보려면, 우선 년주를 보아야 한다.

월은 고향이다. 월주는 부모가 계신 곳이 되며, 어릴때 본인이 살던 곳이다. 어떤 사람은 장성해서 고향을 떠나고, 어떤 사람은 떠나지 못할 것인데, 월과 일의 관계를 활용하여 판단해야 한다. 

일지는 현재 생활하는 곳인데, 지역 만이 아니라 거주하는 곳도 가리킨다.

시주는 문호를 대표한다. 거리상 년에 비해 원방이지만, 많은 부분이 비슷한데, 문호가 열려 있는지 아닌지를 보고 사람의 이동수를 판단해야 할 때도 있다.

 

 

궁위와 육친과의 관계

 

년은 조상, 장인, 장모, 시아버지, 시어머니가 된다. 부모의 원래 자리는 월에 있는데, 어떤 때에는 년에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형제는 본래 자리가 월에 있다.

일지는 배우자궁이다. 일지는 특별히 중요한데, 궁이 부서지면 반드시 이혼하게 된다.

시주는 자녀궁이며 자손을 포괄한다. 

 

왜 배우자궁이 상하면 반드시 이혼하게 되고, 그 밖의 궁은 상해도 반드시 극하는 것은 아닌 것인가? 배우자가 집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이혼이겠지만, 자식이 집으로 돌아오지 않는 것은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자식은 도처로 달려나가기에, 자녀궁과 자기의 관계를 살펴본 후에, 아이가 장래에 당신을 멀리 떠나게 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다만 자녀궁과 성이 함께 부서지면, 비로소 자녀를 극하는 것이다.

 

궁위와 신체와의 관계

 

년은 일주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다리나 발을 표시한다. 어떤 장애가 있는 사람은 년궁에 비겁이 더해져 부서짐을 당했기 때문에 이 같은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월주는 몸이 되는데, 척추를 대표한다. 이 주가 연체인데 부서진다면 중풍이 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사망을 표시한다.

일지는 생명 중에 가장 핵심적인 것을 대표하는데, 흉부, 오장, 육부, 심장, 뇌 등이다. 무엇을 대표하는 지는 다른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해야 한다.

시주가 대표하는 신체 부위는 아주 많다. 문호이기 때문인데, 인체와 외계가 연계되어 소통하는 기관은 모두 여기에 나타나 있다. 눈동자, 입, 귀, 혀 등 오관, 손, 생식기 등이다. 시에는 우리가 소통하는 것과 교류하는 능력이 나타나 있다.

 

궁위와 인물과의 관계

 

육친을 제외하고 우리에게 영향을 주는 사람도 명국 중에 현시되어 있다. 

년은 선배, 연장자이고, 어떤 때는 동향을 표시하기도 한다. 

월은 동창이나 동료, 고향친구, 지도자, 상사를 표시한다. 결혼할 상대가 동창생이라면 그의 배우자성이 월주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일지는 배우자궁이다. 비겁이 배우자궁에 떨어진 것은 비겁이 배우자를 쟁탈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뜻이 있다

시주는 학생, 후배, 아랫사람이며 자기에 비해서 나이가 적은 사람을 표시한다.

 

궁위와 물건과의 관계

 

년주는 신발, 지팡이를 표시하며, 다른 사람의 물건을 표시한다.

월주는 조상의 유업, 가업, 직장을 표시한다. 재부가 2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월주에 주의한다면 그의 부가 2대인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일지는 주택이나 침실, 자기의 돈을 대표한다.

시주는 자동차, 의복을 대표한다. 어떤 여자가 특별한 분장을 하는 지를 보려면 곧 시를 볼 필요가 있다. 시주는 안경, 화장품, 장식품 등을 대표한다.

반응형

'명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옥 가는 사주 조합  (0) 2022.05.28
간지의 허실 관계  (0) 2022.05.26
흉한 사주 보는 법 4 - 반국  (0) 2022.05.15
흉한 사주 보는 법 3 - 반국  (0) 2022.05.15
흉한 사주 보는 법 2 - 반국  (0) 2022.05.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