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십이지지34 묘고의 작용 - 입묘, 출묘, 개고, 인묘, 천인법 묘의 개념 진은 수묘, 술은 화묘, 축은 금묘, 미는 목묘이다. 묘는 수장(거두어 깊이 간직함, 보관), 획취(획득하다, 얻다), 공제(통제하다, 제어하다), 취집(한데 모으다), 사망의 뜻이다. 열리지 않은 것을 묘, 열리는 것을 고라고 한다. 묘에는 입묘와 출묘의 용법이 있다. 년월에 묘가 있고 일시에 묘의 신을 보면 인출이된다. 다만 거리가 아주 가까운 것은 입묘로 논한다(월에 묘가 있고, 일에 묘의 신이 있는 경우) 년월에 묘의 신을 보고, 일시에 묘를 보면 입묘한다. 원국에 묘가 있는데 대운에서 묘의 신이 출현하면 묘신을 인출한다. 원국에 묘의 신이 있는데, 대운에서 묘를 보면 입묘한다. 대운 이외에 유년도 또한 인출 가능하다. 인신사해의 4생지는 묘를 보면 입묘한다. 자오묘유의 4왕지는 묘를 .. 2022. 5. 28. 해수 물상 및 다른 지지와의 작용 관계 해수는 양을 감추고 있으나 음의 위치를 점하고 있어, 음수의 특징이 비교적 명확히 나타난다. 해수의 물상은 계수와 유사한데, 그 상에는 연못, 우물, 관개, 붓과 먹, 술, 수산, 습독 등이 있다. 해수와 술토는 팔괘의 건위에 해당하고 수학을 표시한다. 숫자, 계산, 과학기술 등을 유추할 수 있는데, 이런 점은 임수와 비슷하다. 인체 부위로는, 머리, 신장, 방광, 요도, 혈맥, 월경 등이다. 해수가 많이 응하는 병은, 담습, 답답, 우울 등이다. 해수가 상징하는 동물은 돼지, 곰 등이다. 해수는 하늘에서는 구름이고, 땅에서는 호수가 된다. 해는 4대 장생 중 유일하게 토가 끼어있지 않고, 다만 임갑만이 감추어져 있다. 이는 인신사해가 가진 팔괘의 방위와 관련이 있다. 인은 간에 있어 산에 토가 있고, .. 2022. 5. 25. 술토 물상 및 다른 지지와의 작용 관계 술토는 양토로서 성질은 따뜻하면서도 조열하다. 술토의 상은, 가마, 화로, 성벽, 절벽, 무덤, 산등성이, 고개 등이다. 술토는 화고이므로 화 또는 열과 관련된 상을 끌어낼 수 있는데, 총알, 무기와 탄약, 주유소, 발전소, 동력, 발동기, 자동차, 인터넷, 탄광 등이다. 술토의 상은, 또한 극장, 시끌벅적한 시가, 시장, 가무, 색정 등도 있다. 술토는 무고를 표시하는 것외에, 문고를 표시하기도 한다. 화가 주로 문을 표시하기 때문이다. 학교, 편집부, 교육부문 등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술토는 이 외에도 감옥, 건축, 빌딩, 건축자재, 화공(오히려 난로의 종류), 수학 등의 상이 있다. 인체 부위로는 마음, 심막, 명치, 등, 위, 코, 근육, 넓적다리, 복사뼈 등이 있다. 술토가 많이 응하는 병은.. 2022. 5. 25. 유금 물상 및 다른 지지와의 작용 관계 유금의 상은 천간의 신금과 유사하여 신금이 지닌 상의 특징을 갖고 있다. 신금의 성질은 가벼운 그릇이다. 이러한 것은 유금의 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금석, 옥기, 머리장식품, 창과 검, 삽과 호미, 생활용기, 시계, 손목시계 등이다 유금은 음중의 음이니 음의 성질을 띤 사물의 표시가 가능하다. 비석, 사원, 은학, 현학, 간사, 기생, 병든 사람, 죽은 사람, 음성적인 수입 등이다. 유금은 호텔, 법률, 기술, 기민, 재치 등의 상도 있다. 인체부위로는 폐, 옆구리, 소장, 귀, 치아, 골격, 팔, 맑은 피 등이다. 유금이 주로 응하는 병은 골병, 혈액질환 등이다. 유금이 상징하는 동물은 꿩, 닭, 새 등이 있다. 유금은 하늘에서는 달이 되고, 땅에서는 금이 되며, 사물에서는 주보가 된다. 유는 음중의.. 2022. 5. 25.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