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인은 비록 겁재의 일종이나 겁재보다 그 심성이 더욱 흉악하다.
양인은 담대, 용감, 흉악, 이리처럼 독함, 뒤를 생각하지 않음, 안면 무시, 점유욕, 침해, 아버지나 아내에게 불리함 등의 뜻이 있다. (☞아버지와 아내는 재성이기 때문)
양인은 칼, 총, 수술, 병기, 무장, 정치와 법률, 집법 등의 뜻이 있다.
양인은 인체에서 두 팔과 두 다리, 신체이다.
양인은 제복해야 하고, 제복이 없다면 명주를 상하게 한다.
양인에 천이 있는 것을 가장 꺼리며, 양인으로 공이 있으면 대성대패하는 경우가 많다 (☞양인이 천을 만나면 흉사한다)
상천, 해의 용법 - 명리진보
맹파명리의 특징 중 하나는 천, 상천을 통변에 잘 활용하는 것이다. 천은 지지의 합충형파해묘에서 해와 같은 것이다. 명리진보에 있는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서 내 생각을 추가해 본다. 천은
scsofchgs.tistory.com
양인은 살로 제복하는 것이 기쁘고 설수해도 좋다.
양인이 제복되지 못하면 잘못 사용하게 되는데, 악당, 살인청부업자, 싸움꾼, 도박꾼, 범법행위자 등이 될 가능성이 많다.
양인을 제하는 경우에는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데, 군인, 경찰, 법집행원, 외과의사, 운동선수, 무인, 투자자 등이다.
겁재와 양인은 모두 투기나 전략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수술의 의미도 있어 대개 신체에 흉터 등이 있는 경우가 많다.
기갑을계 건 악비
사자묘미
나의 해석)
갑자일주 선구자이다. 남들이 안 된다고 하는 것을 먼저 시작한다. 을묘 양인이 미토에 입묘한다. 미는 양인고이다. 미가 자수 인성을 자미천한다. 군대로 권력을 잡는다. 양인이 천을 만나면 흉사하게 된다. 미토 양인고도 양인으로 볼 수 있다. 양인이 공을 세워 대승대패하는 경우이다.
갑기합을 한다. 갑목은 기토와 합하는 것을 꺼린다. 존귀한 갑이 비천한 기토와 합하여 갑목의 귀한 성질을 잃게 된다.
일간이 재성과 합을 하면 우선 기토 재성이 공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재성에 공이 없으면, 일간과 재성의 왕쇠를 봐야 한다. 일간이 왕하고, 재성도 왕하다. 신왕재왕하니 부자이다.
천간에 글자 계수는 갑에게는 해충과 같고, 을목 양인은 내 재물을 뺏아가고, 기토는 갑목의 귀성을 잃게 하는 흉신들이다.
시지 사화는 식신으로 갑목과 연결되어 있어 일간의 수명성이다. 사화가 무너지면 사망이다. 사자절로 자수가 사화의 기운을 끊어서 흉신이다.
미토가 을묘 양인들을 입묘시켜 세력이 커졌는데, 자수 인성을 천으로 제하니 군인으로 권력을 잡는 것이서 미토에 공이 있다. 자수를 제하는데, 자가 원신인 계수로 허투하여 달아나서 공신인 미토에 앉았다. 계수는 미중 정화를 제하고 계수를 제압할 수 없으니 반국의 상이다.
자묘형이 보이는데, 양인이 형살을 만났다. 맹파는 자묘형을 보지는 않지만 이것도 형살직권일 듯하다.
임자대운은 자미천으로 좋다.
책에는 갑목을 사목으로 보고 신해대운에 수를 만나서 뿌리가 썩어서 흉운이라고 하였는데, 활목과 사목의 이론은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아서 신중하게 임상을 해야 할 것 같다. 게다가 사망응기에 대해서 명리진보에는 다르게 기술되어 있다.
신해운 신유년에 사망인데, 갑목은 신금이 가장 두렵다. 머리에 못이 박히는 것이다. 대운과 유년에 신금이 왕하여 갑목을 친다. 충흉이다. 충흉은 대운의 신금 기신이 유년 신유에 통근하여 왕해져서 명 중에 충입할 경우를 말하는데, 을신충으로 대운 신금이 명중에 충입한다.
사화가 수명성인데, 사해충이 되고 해수는 사화의 절지이다.
'십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신의 해석 - 식상이 칠살이나 인성과 합하는 뜻은? (0) | 2022.05.20 |
---|---|
십신의 해석 - 5가지 능력, 본질과 확장 (0) | 2022.05.20 |
록신 - 신살, 손잡맹 (0) | 2022.04.24 |
편인 - 십신 (0) | 2022.04.15 |
정인 - 십신 (0) | 2022.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