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십신

십신의 해석 - 5가지 능력, 본질과 확장

by tao12345 2022. 5. 20.

십신의 본래 뜻은 사람의 사회관계를 표현하는데 있다. 사람의 명운은 바로 사회관계에서 펼쳐지는데, 사회관계가 없으면 곧 명운도 없는 것이다.

 

십신으로 보는 사람의 5가지 능력

  • 인성은 나를 생하는 것이니, 사람에게 도움을 받는 능력이다.
  • 식상은 내가 생하는 것이니, 사람의 사고능력이다.
  • 재성은 내가 극하는 것으로, 사람을 지배하는 능력, 교류 혹은 사교하는 능력이다.
  • 관살은 나를 극하는 것으로, 사람의 자아를 극제하는 능력이며 영예감이다.
  • 비겁은 나와 동류인데, 사람의 행동능력이다.

  • 사고하는 능력이 강한 사람은 행동력이 약한데, 식상이 비겁을 설하기 때문이다.
  • 행동력이 강한 사람은 보호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도움을 받는 힘이 부족한데, 비겁이 인성을 설하기 때문이다.
  • 의뢰심이 강한 사람은 자기의 존엄을 강조하지 않게 되는데, 인성이 관살을 설하기 때문이다.
  • 자아에 대한 극제력이 있는 사람은 욕망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는데, 관살이 재성을 설하기 때문이다.
  • 소통하는 능력이 강한 사람은 언제나 사고하는 것을 좋아하니 않는데, 재성이 식상을 설하기 때문이다.

십신은 사람의 사회관계를 표현한다. 어떻게 표현하나? 체용관계를 통해서 표현한다.

인생에는 어떤 목적이 있는데, 이들 목적이 바로 용이다. 대체로 일주 자신과 비겁, 인성, 식신이 체가 되고, 재성, 관살, 상관이 용이 되지만,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재성과 관살도 체가 될 수 있고, 인성이나 비겁도 용이 될 수 있다.

체용사이에 작용하는 관계를 명리의 주공이라고 말한다. 사람이 인생의 목적을 어떻게 달성하는지, 원하는 것을 어떻게 취득하는지, 체가 용을 어떻게 얻는지..

재부를 획득하는 것, 권력을 얻으려 하는 것, 지식을 얻으려 하는 것, 존중을 얻으려 하는 것 등등 이 모두가 인생의 목적이고 용이다. 이 목적에 도달하려면, 본체의 노력이 있어야 하고, 자기를 돕는 공구가 있어야  하고, 혹은 자신의 단체나 조직을 세워야 한다. 

식상, 재성, 비견은 사람의 본능성이고,

관살, 인성, 겁재는 사람의 사회성이다.

 

  • 인성이 나를 비호하는 것은 우리의 문화, 교육이다. 사람은 문화에 귀속감이 있어야 비로소 안전을 느끼게 된다. 
  • 상관과 식신은 자기의 주장이나 생각하는 방법, 욕념으로 이것은 개성화한 것이다.
  • 재성은 내가 지배하는 것이며 또한 자기의 욕망이다. 아이가 태어나면 울기도 하고, 먹을 것을 요구하는 것은 바로 재이다. 자기의 장난감을 다른 사람이 가지고 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므로 본능성에 속한다.
  • 관살성은 영예감인데, 후천에서 배양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압력이나 타격을 대표한다. 성장과정에서 갖가지 고생을 겪게 되는데, 이 모두가 관살이다. 하지만, 이들은 성장을 돕는 필요한 경력이다.
  • 비견은 록인데, 록은 자아감, 자족감, 자아의식이며, 주로 자기가 누려 쓰는 것이며 향수하는 뜻이다.
  • 겁재는 주로 행동력이며 경쟁력인데 후천의 사회에서 교제하는 가운데 체현하여 나오는 능력이다.

이상의 것이 십신의 본질적인 뜻이고, 이를 더 확대해 본다.

 

  • 인성은 나를 보호하는 것이니, 의복, 자동차, 방, 주택, 문서, 신분, 지위, 회사, 기구 등
  • 식상은 내가 출산한 것으로 내 의지의 연장이니, 정신, 사상, 지력, 자유, 감수(감상, 느낌, 체험), 멋대로 하는 것, 학생, 정취, 취미, 감상, 예술, 쾌락, 향수, 먹고 마시는 것 - 내가 생각하고 내가 느끼고 내가 즐기는 것
  • 재성은 내가 극하는 것인데, 지배나 혹은 이용하여 누리는 것. 금전, 부하, 사람과 교제하는 능력, 재능. 교제에 필요한 것은 언어이다.
  • 관살성은 나를 극하는 것으로, 관방, 권력, 압력, 소인, 관사, 폭력, 질병. 심성으로는 극제, 영예, 존엄, 심기, 의심이 많은 것 등이다.
  • 비겁성은 나와 동류이다. 비견과 록은 자아, 향수, 피곤 등이고, 겁재는 쟁탈, 친구, 형제들, 상대방, 을방, 파재 등이다.

 

십신에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의 구분이 없으며, 조합이나 배치만 있을 뿐이다. 살, 상, 인은 흉신이라고 하지만 흉신도 용을 얻게 되면 길신에 비해서 훨씬 대단하다. 대개 성취가 특별하게 높은 명은 흉신을 사용한다.

 

인성의 정인, 편인과 재성의 정재, 편재는 팔자의 함의에는 큰 구별이 없다.

 

관과 살의 구분은 아주 크다.

 

상관과 식신의 구별도 아주 크다.

 

재성이 일주와 합할 때는 특별한 간법이 있다. 

반응형

'십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신과 육친  (0) 2022.05.20
십신의 해석 - 식상이 칠살이나 인성과 합하는 뜻은?  (0) 2022.05.20
양인 - 신살, 손잡맹  (0) 2022.04.24
록신 - 신살, 손잡맹  (0) 2022.04.24
편인 - 십신  (0) 2022.04.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