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갑경병 곤
인오인진
손잡맹에 나오는 명조이다. 록은 많은데 수 인성이 없다. 명국에서 여인의 록은 신체를 의미하는데 록이 상관을 배합하니 홍염으로 외모가 아름답다. 팔자에서 6개가 침실을 의미하며 여기저기가 잠자리이다. 신미년 16세에 매춘을 시작했고 무자대운에 무토 재를 보고 신미년에 오미합으로 상관을 통해 재를 재를 보았다. 신미는 관이 재를 차고 있는 상인데 인목 록은 미토의 응기이다. 이 말은 돈을 가진 남자와 여자의 육체를 나타내는 록이 서로 관련성을 가지니 몸을 판다는 뜻이 된다. 대략 이렇게 설명되어 있다.
일지 오화는 부궁, 2개의 병화는 같은 화이므로 역시 부궁. 이러면 3개인데 인중 병화, 오중 기토때문에 2개의 인목과 진토까지 부궁으로 본것 같다. 부궁은 침대이니 쉽게 잠자리를 가지고 동거하게된다.
경금은 관살이고 궁인 인목에 앉았으니 남편인데, 인목이 비견이니 다른 여자의 남자이다. 2개의 인목 비견이 있어 비겁쟁부인데, 혼인을 해도 유부남과 하게 되고 쉽게 이혼하게 된다.
그런데 경금 남자는 인목 절지에 앉고 지지에 근이 없으니 너무 허약해서 남편이 되기가 어렵다. 관살이 부성이 되기 어렵다면 원신인 진토 재성을 부성으로 보는데, 궁인 병화를 이고 있으니 진토가 남편이 되고 년주에 있으니 일찍 만나게 된다. 진토는 을목이 있으니 역시 유부남이다.
갑일이 병인시이면 병화 식신도 체가 되어 내몸으로 본다. 병화가 경금 칠살을 제하는데 칠살의 제화가 완전하지 않아 경금을 재로 보는데 월주 경인은 돈이 되는 남자가 내 몸위에 있는 상으로 몸을 파는 상이다.
병화 식신은 내 생각인데 경금 남자를 년과 시에서 포위하고 있으니 남자 생각이 많고, 년간 병화는 진토 재를 생하고 있으니 남자를 통해 재를 구하는 모습이다. 진토 역시 돈이면서 남자이다. 병진은 년주이니 일찍부터 이일을 하게된다.
대운이 기축 무자 정해 병술 을유로 흐르고 무자대운은 12세부터 시작되는데, 무는 병이고 자는 진이니, 무자대운은 년주 병진의 출현이다. 16세 신미년은 신금 남자가 미토 재를 차고 왔는데, 내몸인 병화가 신금 남자와 합하고, 내몸인 인목이 미토 묘고로 들어가고 미토 재는 부궁인 오화와 합하여 들어온다. 몸과 돈이 교환되는 상이다. 신미 남자는 재고를 차고 있으니 돈도 많고 여자도 많은 남자이다.
갑일의 병인시는 신금과 병신합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하는데 병화로 꽃을 피운것이 꺾이게 됨을 뜻하고, 왕한 식신이 관과 합하게 되면 몸에 鬼가 달라붙는다고 했다.
갑목이 인월에 태어나고 목화세가 강한데 수가 없다. 갑목이 분멸하는 상이니 수명에 문제가 있는데, 병술대운의 술은 수고인 진토를 무너뜨리고 인오술 화국을 짠다.
'명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겁재의 관점에서 풀어보면? 2 (0) | 2024.10.15 |
---|---|
겁재의 관점에서 풀어보면? (0) | 2024.10.15 |
유흥가 명조 3 (0) | 2024.10.08 |
유흥가 명조 2 (0) | 2024.10.08 |
어떤 유흥가 명조 (0) | 2024.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