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이론

간지의 관계 - 간지일체, 간지이체

by tao12345 2022. 7. 21.

천간과 지지를 배합하면, 양과 양의 배합과 음과 음의 배합이다. 음양은 착배하면 안 된다. 60갑자
천간은 하늘을 상하고, 지지는 땅을 상하는데, 인사는 천지의 가운데에 있기에 간지의 관계로 인을 상한다. (상은 물상할 때의 상)

혼돈상태에서 천지가 처음 나뉜 연후에 음양이 있다. 청기는 상승하여 하늘이 되고, 탁기는 아래로 내려와 땅이 되었다. 고로 천간은 청경한(맑고 가벼운) 기이며, 그 기는 순하여 쉽게 나누어진다. 지지는 중탁한 기로, 그 기는 잡되어 분별하기가 어렵다.

천간은 오행의 정기를 겸하나 기의 강도는 비교적 약하며 지지에 의지하여 존재한다. 지지는 사시와 팔방으로 통하며 오행의 기에 쇠왕과 생사를 싣는다.

천간의 기가 지지의 기보다 가볍지만, 자리는 지지에 비해서 높다. 위(자리 위)는 신분과 지위에 해당하여 기보다 중요하다. 천간은 군에 비유되고, 지지는 신하에 비유된다. 신하의 능력이 군왕에 비해 강한 것이 많지만 군왕은 자리가 높아 신하는 영원히 군왕의 명령을 받들어야 한다.

천간은 능히 지지를 극하지만 지지는 극하여 천간에 이르면 안 된다. 단지 상하가 서로 합하는 특수한 몇개의 주(기둥 주)는 지지가 극하여 천간에 이르게 된다. 이것은 너무 깊이 사랑한 남편이 부인을 인정한 것에 해당한다.

수화는 기가 되고, 금목토는 형이 된다. 기에는 간지조합 중에 특별한 것이 있는데, 그것은 음양착배이다. 여기서의 음양은 위(자리 위)의 음양이 아니고 내장된 기의 음양을 말하는 것이다. 임자나 계해는 천지가 수이고, 임은 양이며 자중에 감추어진 계는 음이다. 계가 음이면 해중에 감추어진 임은 양으로, 음양이 착배를 형성한다. 수와 화는 모두 음양의 착배이며, 목금토의 형은 바로 음양의 정배이다.

수화는 왜 음양이 착배하는가? 수화는 모두 음양의 양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화는 외변은 열이나 속의 화원(화의 근원)은 냉하다. 수는 표면은 약한데, 오히려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 것이니 음양의 양성이 나타나면 음중에는 양을 감추고 양중에는 음을 감추고 있는 연고이다.

간지 관계에서는 허실의 관계가 중요하다. 천간이 지기를 얻지 못하면 허이고, 천간이 지기를 얻으면 실이 된다. 지지가 천간을 지탱하기 때문에 곧 천간에 허하거나 실한 개념이 있다. 전통 명리는 쇠왕을 말하는데, 맹파 명리는 오직 허실만을 말한다.

육십갑자 중에 반은 허이고 반은 실이다. 체가 나타나도 상의는 다르다. 하늘에서는 상을 드러내고 땅에 떨어지면 형을 드러낸다. 허는 단체(홑 단, 몸 체)의 상의를 나타내는데 땅에 떨어지면 간지가 하나의 상이 된다. 갑신, 을유에서 갑과 을은 허이고, 갑인, 을묘에서는 갑과 을이 실이 된다.

간지 관계 중 간지가 일체인 것을 이해해야 한다. 어떤 간지 조합은 하나의 전체적인 사람을 대표하는데, 천간은 머리를 대표하고, 지지는 몸체를 대표한다. 간지가 일체인 것은 부서지면 안 되며, 부서지면 생명에 문제가 생긴다.

  • 천간이 지지를 생하는 것을 간지일체라 볼 수 있는데, 경자, 신해, 병진과 같은 종류이다. (대상)
  • 천간이 지지의 록과 통해도 간지일체라 볼 수 있는데, 갑인, 을묘, 임자, 병오와 같은 종류이다. (통록)
  • 지지에서 천간을 생하는 조합이나, 지지 중에 감추어진 왕기가 천간과 조합하면 간지일체라 본다. 병인, 임신과 같은 종류이다. (탁근)
  • 부분적으로 간지가 극하는 것이 있어도, 상의로는 전체를 이루는 것으로 갑진, 을미와 같은 것이다. 갑목은 활목으로 뿌리가 진에 의탁하고, 임진은 임이 진에 떨어졌으니 모두 간지 일체가 되어 부서지면 안 된다. (탁근)


간지가 일체인 것은 사람의 건강을 대표하므로 부서지면 안 되며, 부서지면 생명이 위험하다. 따라서 간지일체인 것이 간지이체(이는 다를 이)인 것에 비교해 좋은 것을 보지 못하는데, 일단 간지가 일체이면 이 간지가 부서지면 안 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일주 천간이 땅에 떨어지지 않는 명이라야 이러한 위험이 없다.

간지가 상생하는 주를 간지의 화기라 한다. 화기는 바로 전화한다는 뜻으로, 어떤 지는 능히 간을 화하고, 어떤 간은 능히 지를 화한다. 간지가 화기인 사람은 일종의 영동성(총명, 기민, 영리, 영험, 신통함을 나타냄)이 있음을 표시한다. 능히 전신(몸을 돌리거나 방향을 바꿈을 나타냄)과 변화를 하는데, 용하는 것이 마땅함을 얻으면 명국의 층차가 올라간다. 반대로 전화를 못하는 간지는 비교적 융통성이 없기 때문에 영동이나 활발성이 없다.

간지가 함께 있는 조합이라면, 곧 남녀가 하나의 가정을 조성하는 것과 같다. 즉 부부가 화목하거나 화목하지 않아도 모두 한 식구인 것이다. 병신년은 비록 간지가 서로 극하나 병신은 독립적인 상을 취한다. 병신이란 하나의 주로 금년에는 어떤 산업이 흥성하고 어떤 산업이 쇠패하는 지를 분석해 낼 수 있다.

간지의 천은 오로 10개를 배치하여 둥글고, 지는 삼과 사의 12개로 방위를 배치한다. 지지는 천간의 생왕과 쇠패를 싣는다. 오행의 생사가 윤회하는 과정으로 만물의 성주괴공과 사람 생명의 생장과 장로를 상하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