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무병갑 곤
해술자진
년월의 자진은 병갑의 제를 당한다. 시의 계해는 자진을 대표하는데, 합하여 일주에 도달하니 반국이다. 무계합이다. 제압된 것은 신(일주, 일간)과 합하지 못한다. 경오운 정유년에 유방암이 전이되어 사망하였다.
계수가 병이다. 경오대운의 오화는 술의 출현을 나타낸다. (술은 홀로 양인데, 오운에 술이 출현하고, 유년에 진유합으로 진을 동하여 진술충으로 술이 무너진다)
신임병기 건
축오자해
왕리쥔의 명조이다. 보시라이 사건. 해자축이 일당으로 오를 제하는데, 오의 원신인 기토가 년으로 올라가서 역으로 해를 제하니 반국이다. 미대운에 오미합은 길로 논하고, 미는 기를 대표하여 흉으로 논한다. 임진년에 축미충이 해소되어 (축이 진에 입묘하여 축미충이 안 일어난다), 축토 인성은 주공을 할 수 없고, 오히려 묘에 들어간다. 권력을 빼앗겨 감옥에 들어갔다.
미대운은 전성기인데, 원국에 기가 없으면 오가 커진다. 미는 오를 크게 하여 좋기도 하지만, 기이기도 하여 감옥도 간다.
갑신갑계 건
오해자사
년월일로 보면 상관제관격이다. 해가 사를 충제하고, 자가 계로 올라가서 사를 관할한다. 하지만 시에 갑오를 만나 관살이 반대로 상관을 제하는 의사이다. 원국 반국이다. 해자는 갑오를 통제하려고 하는데, 제압이 안 되어 재로 본다. 그래서 탐관오리이다.
자가 갑을 생하고, 갑은 오를 생한다. 상하반국이다. 오해합, 자오충으로 오화를 제하지만, 갑이 오를 생하는데 갑을 제할 수는 없다. 그래서 오는 깨끗이 제압이 안 되기에 재로 본다. 갑오년에 사법기관의 조사를 받았다. 병신인 갑오의 출현이다.
계기임임 곤
유묘인술
임인은 착용(떠받드는)의 상으로 인묘재는 값어치가 있는 돈이다. 유를 취하여 묘를 충하는 것, 식신으로 살을 제하여 재물을 얻으려고 하는데, 이는 손해를 보는 의사이다. 임인묘는 가치있는 돈인데, 묘유충으로 유전되어 계유의 가치없는 돈이 되어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이 마저도 술이 유를 천괴하여 좌우의 의사가 상반되었다. 일시는 유가 묘를 충하고, 년월은 술이 유를 천한다. 이룬 것은 없고 많은 빚을 졌다.
유가 계를 생하고 임이 인을 생한다. 상하반국이다.
기병병을 곤
해오술사
화와 조토가 세력을 이뤄 해수 살성을 깨끗이 제압했다. 재부가 크다. 묘운은 묘가 해를 대표하는데(해가 묘를 생한다), 묘가 술을 합주한다. 병술은 연체의 식신이니 해가 묘를 생하여 술을 통제하니 반드시 흉사가 있다. 정경유착의 구조여서 관원의 사고가 발생하여 정유년에 조사를 받았다.
제압당한 글자가 역으로 제압하는 글자를 제압하면 반국이 된다.
'명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지의 관계 - 간지일체, 간지이체 (0) | 2022.07.21 |
---|---|
부친 사망 후 모친 재혼, 부모의 사망 응기, 현모양처 보는 법 (0) | 2022.06.11 |
흉한 사주 보는 법 6 - 간지반국 (0) | 2022.05.28 |
흉한 사주 보는 법 5 - 충합반국 (1) | 2022.05.28 |
감옥 가는 사주 조합 (0) | 2022.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