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조합의 종류
- 간지가 록과 통하는 것으로 연체의 뜻이 있다. 갑인, 을묘, 경신, 신유, 임자, 계해, 정사, 병오가 있다. 수화는 음양의 착배로 인해 임자 중 자가 머금은 것이 계수이지만 통록이라고 한다. 무진, 무술, 기축, 기미의 토는 통록이라 하지 않는다. (통록 8개)
- 간지가 근에 의지하는 것이다. 갑진, 을미, 을해, 병인, 정미, 무오, 기사, 신축, 임진, 임신이다. 이 10개의 주간은 지에 의존하여 생존하는데, 지가 부서지면 간도 또한 부서진다. (탁근 10개) 병술과 계축은??
- 간지의 대상이다. 간이 지를 생하는 조합으로 천간이 지지를 생하는 것을 대상이라 한다. 천간은 머리를 대표하고 지지는 몸을 대표한다. 간지의 대상은 천간이 능히 지지의 상을 대표한다. 간지의 대상을 일주의 입장에서 본다면, 곧 좌하가 상관이나 식신에 해당할 때, 지지의 자를 부셔도 되는지 부서지면 안 되는지는 상황에 따라서 정하고 만일 일주가 의탁하는 인성이 있다면 지지는 파괴되어도 괜찮다. (갑오, 을사, 병진, 정축, 무신, 기유, 경자, 신해, 임인, 계묘) (대상)
- 간지가 가생(겉모습은 생하는 구조이나 실질적으로 생이 안 되는 간지를 말한다)하는 것이다. 정묘, 계유, 갑자, 경진, 경술, 신미이다. 이 6개 주의 지지는 부서져도 되며, 그 중에 계유는 지지가 부서져야 비로소 좋아지며 부서지지 않으면 오히려 좋지 않다. (가생 6개)
- 간지가 상극하는 것이다. 천간이 지지를 극하는 것이나, 혹은 지지가 천간을 극하는 간지의 조합이다. 단, 갑진과 을미는 제외한다. 예를 들면, 갑신, 갑술, 을유, 을축, 병자, 병신, 정해, 정유, 무자, 무인, 기해, 기묘, 경오, 경인, 신사, 신묘, 임술, 임오, 계사, 계미로 20개 주이다. 이것을 천간이 허투했다고 한다. 이 20개 주 속에는 다시 일부분 간지가 자합하는 상황이 있다. (상극 20개)
이 20개 주에 간지가 가생하는 경술과 신미를 더하면 모두 22주로 모두 천간이 허투한 것이다.
그 외 무진, 무술은 형충을 기뻐하지 않고, 기축과 기미는 반드시 형충해야 오히려 길하다.
허실은 변화를 말하는데, 허란 약화, 경화, 기화를 말하며, 일반적인 말의 함의는 달아나거나 도망가는 뜻인데, 이것은 명리에서 특별히 중요하다. 재성이 허투하면 재주이고, 관살이 허투하면 명예가 된다. 인성이 허투하면 방대(확대하다, 크게 하다, 증폭하다)로 인성이 허투한 것은 바로 포장(사람이나 사물을 포장하거나 잘 꾸밈을 나타냄)이나 신분, 영예가 된다.
자수인 지지가 천간에 허로 있다면, 계가 자를 대표하지 임은 자를 대표하지 않는다. 만일 자가 처를 대표하는데 주 중에 계미를 보면 이것은 처가 반드시 도망가서 자기를 떠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실이 허로 화하는 일종의 함의이다. 실이 허로 화하는 함의는 장사하는 유형으로 생산품이 많은 한쪽에서 적은 한쪽으로 팔아버리는 것이니 실한 것이 다른 한쪽의 허에 이르는 것이다.
실이 허로 화하는 세가지 상황이 있다.
1. 본기의 실이 허로 화하는 것으로, 년의 지지에 인이 있는데 시에서 갑신을 보면 인이 허하여 시상으로 변화한 것이다.
2. 감추어진 왕기가 허한 것으로 인이 허하여 병신이 되면 또한 인이 허하여 도망간 것을 대표한다.
3. 묘기가 허하는 것으로, 미가 을을 보면 미중에 을목이 묘에서 나간 것으로 이런 종류로 나가는 것은 충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허하여 출묘한 것이다.
만일 원국에서 허실의 변화가 없다면, 대운에서 만나는 것도 또한 같이 본다. 원국에서 묘가 처가 되는데, 대운에서 을유운을 만나면 처가 이 운 중에 도망가는 것을 대표하고, 만일 원국에서 혼인이 평온하지 않으면 곧 이혼하게 된다. 원국에서 혼인이 안정되었다면 부부의 사이도 또한 업무나 직업으로 인해 헤어지는 것으로 본다. 유년에서 발출한 실이 허로 변한 상황에서는 큰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경진이 경자로 변하는 것은 허실의 변화는 아니지만, 일종의 변화인데, 경이 재를 대표하는데 경진이 경자로 변한다면, 장사로 돈을 벌려고 지방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가공으로 전화하는 것을 거쳐서 돈을 버는 것이다.
'명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응기大限应期 - 손잡맹 (0) | 2022.09.27 |
---|---|
간지의 자합 (0) | 2022.07.21 |
간지의 관계 - 간지일체, 간지이체 (0) | 2022.07.21 |
부친 사망 후 모친 재혼, 부모의 사망 응기, 현모양처 보는 법 (0) | 2022.06.11 |
흉한 사주 보는 법 7 - 반국 (0) | 2022.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