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이란 팔자에서 상대적으로 응하는 시간의 빠름과 늦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년월은 이른 것이고 일시는 늦은 것이다. 년주는 1~18세, 월주는 19~35세, 일주는 36~55세, 시주는 56세 이후
원국의 대한이 흉한데 상대적인 대운이 길하다면 이 대운은 흉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대운이 지나가면 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원국의 대한에서 극부하고 있는데 상대적인 대운은 오히려 극부하는 상이 없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 대운에서는 상부하지 않고 이 대운이 지나야 극부하게 된다.
반면,, 원국의 대한이 길이고 이에 상대하는 대운이 흉이라면, 이 대운은 불길하게 된다. 이 대운이 지나야 비로소 길하게 된다.
원국의 대한이 흉이고 그 뒤의 대운이 길운이라면, 이 길운은 길이 되지만 아직 길운이 이르지 않았으면 흉하게 된다.
교탈결
팔자의 운한이 길...흉한 대운을 만나면 그 대운이 지나야 길이 되며 응기는 보지 않는다.
팔자의 운한이 흉...길한 대운을 만나면 그 대운이 지나야 흉이 되며 응기는 보지 않는다.
팔자의 운한이 흉...그 뒤에 길한 대운을 만나게 되는데, 아직 길운이 이르지 않았다면 반드시 흉을 보게 된다.
반응형
'명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인의 응기应期 - 손잡맹 (0) | 2022.09.27 |
---|---|
응기应期의 원리(객客인 대운이 주主가 되거나 출현) - 손잡맹 (1) | 2022.09.27 |
간지의 자합 (0) | 2022.07.21 |
간지의 허실 관계 (0) | 2022.07.21 |
간지의 관계 - 간지일체, 간지이체 (0)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