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십이지지

묘목 물상 및 다른 지지와의 작용 관계

by tao12345 2022. 5. 23.

묘목의 상은 을목과 유사하여 을목이 갖고 있는 상의 특징을 갖고 있다.

묘목은 음목으로 초목, 화초, 등나무, 나뭇가지, 휘어지고 가늘고 부드러운 것 등의 상이다.

묘목은, 견사, 밧줄, 직물, 건축자재, 철골, 문과 창문, 물결, 파도, 파동, 전달매체, 넘침, 범람, 석방, 간행물 등의 상이 있다.

 

인체 부위로는, 간담, 사지, 팔뚝, 손가락, 발목, 목, 허리, 힘줄, 인대, 모발 등이다.

묘목이 많이 응하는 병은, 경련, 체통 등이다.

묘목이 상징하는 동물은 너구리, 토끼, 여우 등이 있다.


하늘에서는 뢰가 되고, 땅에서는 벼가 되며, 물(사물)에 있어서는 등나무이다.

인은 종자가 생장하여 팽창하는 상태, 묘는 종자가 발아하는 상태인데 종자가 땅을 뚫고 나오는 상태이다.

인에는 은위(은혜와 위엄, 인정과 법치) 2가지 상반된 성질이 있고, 묘는 전(전문적, 독점적, 오로지)과 유(부드러움) 2가지 상반된 성질이 있다. 묘목이 살았으면 버드나무이고, 죽었으면 리벳이 된다. 버드나무는 유미(부드럽고 아름다움)하고, 리벳은 전강(오로지 강하다)하다.

만곡의 상이 있다. 초목, 화목, 밧줄, 방직물, 사선 등

강한 전상이 있다. 무기, 힘줄, , 전연(전문적으로 연구하다), 전주력(집중력)

만곡의 상에서 파생된 상으로 현대의 전파와 미디어. 인터넷망의 상이 있고,

묘목의 부드러운 성질로 인해 묘목의 여자는 몸매에 곡선미가 좋다.

전주(집중)와 산만은 상대적인데, 인신사해 생지는 주로 산하는 것이고, 자오묘유 왕지는 주로 전한다. 4왕지 중에 묘가 더욱 기본이 되는데, 묘는 형이어서 기인 자오보다 더 전하고, 묘는 양이어서 음인 유보다 더 전하다.

사람의 발명과 창조능력은 4장생에 있고, 4제왕은 사람의 장인정신을 표시한다.

묘와 진은 상천. 묘가 진을 보면 묘는 반드시 그 전성(한가지에 몰입하는 성질)이 나타남. 전일(한결같다)해야만 비로소 천할수 있기 때문. 진은 제방이고 묘는 제방을 견고하게 하는 말뚝으로 말뚝을 제방 속에 박아 제방을 다시 굳게 한다. 묘진천은 진에게는 이롭고 묘에게는 불리하다. 묘가 손해를 보아야 진은 성취하는 것

묘가 사를 보면 그 상이 책이나 문장이 됨. 묘는 필이고 사는 문장이나 서화

묘가 오를 보면 파. 묘오파는 묘도 상하고 오도 상함. 오는 심장, 묘는 혈관, 다시 인인 머리와 연관되면 반드시 심뇌혈관이 파열됨. 묘오파는 의복의 재단, 묘는 포()로서 파하여 자르는 것

묘가 미를 보면 반합국. 묘가 미를 보면 건축이나 철근, 시멘트의 상

묘가 신을 보면 암합. 묘신합은 수방(빌려주고 거두어 들인다, 봄에 키워서 가을에 수확하는 의미)이 되니, 은행의 상

묘가 유를 보면 상충. 상충은 왕래 호환. 묘는 주로 방하고 유는 주로 거두니 은행이 수방하는 상. 묘유충은 반드시 묘가 상한다. 묘가 록인데 묘유충이나 묘신합을 만날 경우 생조하는 것이 없으면 쉽게 지체(사지)나 근골의 병이 생기게 됨

묘가 술을 보면 합인데, 묘술합은 토목의 조합이니 건축이나 부동산의 상. 묘를 얻거나 술을 통제하는 뜻이 됨

묘가 해를 보면 장생과 서로 공합. 묘목을 생왕하게 하며 또한 묘는 활목이 된다.

묘가 자를 보면 파. 자는 묘를 생하지 않고 오히려 묘가 자의 파를 당하며, 친한 것을 생하지 않고 오히려 원수가 됨. 묘가 자의 파를 당하면 목이 썩어 문드러진다.

묘가 인을 보면 겁재. 인묘가 지에서 서로 이어져 있으면 전산(전은 집중하는 것, 산은 발산하는 것)이 한결같지 않고 묘가 인의 편의를 점하게 됨. 인은 크고 묘는 작은데, 묘가 능히 인에게 붙는다.

묘목은 간담과 사지. 묘에는 만곡의 상이 있어서 인체의 만곡한 부위는 모두 묘로 볼 수 있음. 사지의 관절, 척추, 팔뚝, 발목, 근육. 근골은 묘신의 합, 신이 뼈이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