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명인 사주

악비 사주 - 갑자일주

by tao12345 2024. 10. 20.

악비 사주는 여러 곳에서 언급되고 있는데 설명이 조금씩 다르다. 장극동 사주처럼 설명내용을 모아서 비교해본다.

기갑을계 건
사자묘미

<손잡맹 상 p85>

  • 사목. 수를 두려워하기에 미가와서 자수를 천으로 제하는게 기쁘다. 을묘 양인은 미에 입묘, 미는 군대, 자는 인성이니 군권.
  • 자수가 깨끗이 포제 포위하여 제압되어 적포구조, 적신지인 임자운 좋음.
  • 자수는 포제되고 설기되고 있어 적신, 계수는 적포구조가 아니다...●포제에 설기 심하고, 원신인 관살도 없음. 자미천으로 깨끗이 제압..자가 계로 허투하여 달아난 것은 병이고 반국의 상.
  • 신해운에 사목이 해수를 만나 나무가 썪음. 또 갑목은 신금이 두려움. 신운은 갑목이 응기가 되어 신금의 극을 당해 해를 피할수가 없다...●갑목이 응기가 되어? 해운이 갑목의 출현이라는 뜻? 번역오류?

<손잡맹 상 p258>

  • 사목. 목화세 자미천 주공, 임자운 가장 좋아 악가군 창설하여 금군을 쫓아버림.
  • 사목은 수가 생함을 두려워함. 신해운 해가 갑을 생함. 사화는 수명성인데 해수는 절지. 양인은 형충이 두려운데 해운 신유년 을신충 사망
  • 설용구조주공이니 사화는 수명성...●갑을묘, 계자의 생, 목이 왕하여 설기가 필요, 갑기합하니 사화 식신이 수명성. 자미천의제용구조, 설용구조 2가지 주공, 갑일간 기사시는 사화가 수명성이 되는 경우가 많이 보임.
  • 대운 해수는 갑목 본인이 온 것. 해는 사를 충괴, 신유년은 을신충 묘유충 양인을 충...●해는 갑의 장생지. 록외에 장생지로 일간을 대표하는 설명은 자주 나오지는 않았던듯

<손잡맹 하p320>

  • 자수 인성이 일지에 있으니 군권을 일주가 장악한것
  • 신해운에 해수가 사목인 갑을 생해서 반국. 더욱이 수원성 사화가 충괴되어 해운에 사망
  • 처궁 자와 처성 미가 천하여 혼인이 불길함. 2번의 혼인. 년지 미토 첫결혼, 시간 기토 재혼
  • 해운은 해묘미 목국이 되어도 원국이 사목이면 근으로 사용하지 않음. 삼합이 되어도 천 작용은 일어나고 그 역량만 줄어들뿐.

<명리진보 p78>

  • 양인고 미가 인성 자를 천으로 제하여 권력을 얻음. 임자운 응기로 대길
  • 신해운의 신관은 기신으로 제화가 없음. 기신운에 가장 두려운 것은 기신이 근을 얻는것 신유년이 해당운의 흉의 응기. 더불어 국중의 양인은 적. 신을충이니 충흉. 흉의 유년응기. "무엇을 충흉이라 하는가? 팔자중의 기신이 있는데 대운중에 출현하여 명중에 충입하거나, 대운의 기신이 유년에 통근하므로 왕해져 명중에 충입할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세운의 충흉은 세운에 상응하는 흉사가 발생한다"...●두번째 경우임. 갑은 신을 꺼리는데 신이 대운에 출현했고 신유년에 통근 왕해져서 을신충으로 충입하여 충흉. 첫번째 경우라면 원국에 신금과 을목이 있는 상태에서, 대운에서 신이 출현하여 명중에 충입이라는 얘기. 아무래도 어색함. 원문을 봐야할듯
  • 임자운의 기유년은 흉신이 대운에서 불출현하니, 이를 충왕이라 하는데 주로 길하다. 이 일년에 스스로 독립적으로 금에 대항할수 있는 역량이 생겼다. 이때 많은 공을 세워 악가군으로 칭해졌다. "무엇을 충왕이라 하는가? 태세가 팔자 중의 극왕한 신을 충할 경우로 예를 들면 왕화 중에 약수를 뿌리면 그 왕성을 격하게 하는 것과 같다. 왕한 희신을 충하면 길하고 왕한 기신을 충하면 흉하다. 대운이 팔자의 극왕한 신을 충하는 것은 충왕이 되지 않고 길흉의 정황을 판단한다."...●묘는 월령을 점하고 있고 자수의 생을 얻고 있어 극왕. 임자운 기유년의 유가 묘를 충하여 충왕인데, 묘가 희신이어서 길했다는 스토리. 위에서 을묘 양인은 적이라고 했는데 적이라도 희신인 것인가? 미가 자를 천제하여 제인득권하는 구조에서 미는 공신인데, 을묘는 미에 입묘하여 미의 에너지를 강화시키므로 공신이기는 함. "양인은 너무 강왕한 것이므로 제복하는 것이 필요하고 제복이 없다면 명주를 상하게 한다. 양인에 천이 있는 것을 가장 꺼리며, 양인으로 공이 있으면 대성대패하는 경우가 많다. 양인은 살로 제복하는 것이 기쁘고 설수해도 좋다(손잡맹 항p277)." 이 사주에서 경신금이 없으므로 양인은 제복되지 않았으나 사화 식신으로 설수, 위에서 설용구조 주공이라고 했음. 또한 이 사주는 양인이 공이 있고 대성대패하는 경우임. 비록 을묘 양인이 공신이고 설수되어 좋지만, 원래 기신이어서 대운의 흐름에 따라 길흉이 달라짐. 임자운은 대운이 길운이어서 기유년의 충이 길하게 작용했으나, 신해운은 흉운이어서 신유년의 충이 흉하게 작용. 임자운에 자가 왔고 기유년의 기는 미, 자미천의 응기. 원국에서 갑기합은 미중 기토가 온것이니 갑기합은 미토 군대를 얻는것이기도 하고, 기사는 대상인데 지지가 천간을 생하니 내 생각인 사화가 기토 군대를 향하고 있음. 기토는 책이고 사화는 사상이니 기토는 나의 사상을 표현한 책이기도 한데, 이 책은 미에서 왔으니 군대와도 관련됨. 김용 소설에 나오는 무목유서가 연상된다. 기유년은 기토 정재  유금 정관이다. 대상이니 재를 관리하는 관인데, 기는 미를 뜻하니 군대를 관리하는 관이 된다. 갑기합은 이 관을 얻는것이고, 묘유충은 미토에 입묘된 묘 양인을 꺼내니 칼창, 병기를 꺼내드는 것이고, 사유합 역시 관을 얻는 것.

<명리진보 p163>

  • 목화로 세를 이뤄 국중의 자수 제압. 관성이 없어 인성을 생하지 못하므로 인성을 순수하게 제압, 관직이 있다.
  • 관살을 보지 못한게 길이다. 임자운에 크게 길했고, 신해운의 신운에 관성운이 도래하니 오히려 흉이 됨. 관성이 인성을 생하기에 원국에서 인성을 제압할수 없게 되고, 을신상충으로 관과 본국이 불화하니 흉이다. 신유년에 관이 유년에 도달했기에 사망...●천간으로 신금 관이 왔다. 만약 경금아 왔다면 을경합으로 제할수 있다. 지지로 신유금이 오면, 사신합 사유합, 묘신합 묘유충으로 제할수 있다.
  • <심화학습 p146>
  • 계미와 갑자는 천으로 인한 반국. 단명
  • 신운 신유년에 살해당함. 신이 갑을 베는것
  • 원국반국이 있을때, 대운에서 나타나면 응기가 됨. 유년 인동동기
  • ●자갑을묘미로 상생 상련으로 연결. 자미천으로 머리와 신체가 분리되는 상. 간지반국...자미천은 제인득권이자 간지반국
  • 신해운 사망에 대해 종합해보면, 1. 사목이어서 해운에 썪게 됨. 2. 갑에게 신은 기신. 충흉. 3. 해수가 수명성 사화를 충괴. 4. 인성을 생하는 관성운 출현으로 인성을 제압하지 못 하게됨. 5. 을신충 양인을 충. 6.간지반국

반응형

'유명인 사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사주 - 경진일주  (0) 2024.10.31
종초홍 사주 - 갑자일주  (0) 2024.10.30
김소연 사주 - 배우, 기묘일주  (1) 2024.10.13
한강 사주 - 신해일주  (0) 2024.10.11
허경희 사주 - 병인일주  (0) 2024.10.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