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십천간

십간의 희기 (천간의 희기) - 명리진보

by tao12345 2022. 4. 18.

매 일간마다 그가 기뻐하는 것과 꺼리는 것이 있다.

 

갑목이 인묘월에 태어나고 수가 생조하고 있으면 가히 참천한 나무가 될 수 있으며, 화로 설하는 것을 쓴다. 하지만 이른 봄에는 어리므로 강한 금이 극해하는 것이 가장 두렵다. 

 

을목이 인묘월에 태어나면 수는 적절하고 화는 적절하지 않다. 마땅히 결당으로 회국하고 유취하여 세를 이루게 하고, 수가 있으면 화를 보아도 또한 길하다.

 

갑을목이 여름에 태어나면 익은 벼이니 수를 보는 것이 가장 좋고, 수가 있으면 귀하고 수가 없으면 빈하다. 가을에 태어나면 "갑목은 수를 기뻐하고 토는 두려워하고, 을목은 화를 기뻐하고 수는 두려워하게 된다" (가을 갑목은 수를 기뻐하는데, 토는 토극수 하므로 두려워한다. 가을 을목은 화를 기뻐하는데, 수는 수극화 하므로 두려워한다). 겨울에 태어나면 한목이 되는데, 화를 써서 온국하여 조후하는 것을 가장 기뻐하며 화가 없다면 빈천하게 된다.

 

병정화의 특징은 사계절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는 것이지만, 습토가 화를 어둡게 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하고, 또한 조토가 화를 회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목을 쓰는 것이 기쁘다. 목이 없다면 빈천하게 된다. 병정화는 토를 보면 투기(공기가 통하다, 숨을 내쉬다)가 되지 않는다.

 

병화의 모습은 태양과 같으며 지나치게 왕한데 목의 쇠하고 수가 없는 것이 두려우니, 즉 다 타서 꺼져 망하게 된다. 그래서 병화는 그 성질의 억제를 요하지, 그 위력을 도우면 안 된다.

 

정화의 모습은 등불과 같아 생왕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오시를 만나고 병이 투하는 것을 두려워하는데, 즉 그 빛을 빼앗기기 때문이다. 쇠할 때는 갑을로 생조하는 것이 가장 좋다.

 

무토는 대지와 같아 봄이나 가을에 태어나면 (술월은 제외), 천박한 땅이 된다. 그래서 병화인 태양이 보조하는 것을 가장 사랑한다. 여름에 태어나면 귀격이 되는 사람이 아주 적다. 술토를 보아 통근하면 완고해지고 또 화를 보는 것이 두렵고, 마땅히 설하거나 소모하는 것이 마땅하다. 겨울에 태어나면 병화를 보는 것이 기쁘다.

 

기토는 사계절에 대하여 십분 민감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왕하면 신금을 기뻐하고 쇠하면 록을 기뻐한다. 정은 기토의 록이 되는데, 다수의 기토는 정화를 기뻐한다.

 

경금은 완고하고 투박하고 거칠어서 일반적으로 왕화가 단련하기를 요한다. 수를 보면 그것을 설하니 식상을 필요로 하고 관을 보는 것이 마땅하다. 만약 경금이 화가 없다면 어리석고 귀가 없다.

 

신금은 일종의 매우 수기한 물건이므로, 마땅히 조심스럽게 아끼고 보호해야 한다. 여름에 신금이 극을 만나면 최고로 기뻐하는 것이 계수를 보는 것이다. 겨울의 신금이 한을 만나면 최고로 바람직한 것이 병화를 보는 것이다. 신금은 많은 것이 마땅하지 않은데, 많게 되면 빼어나지 못하고 또 토중한 것을 두려워 하는데 매몰하게 되면 빛이 없게 된다. 신금은 식신과 록신을 사랑하고, 아주 적게 인수의 정황을 사랑한다.

 

임수는 인목을 가장 사랑한다. 쇠한 수가 인목을 보면 의탁할 수 있고, 왕수는 인목을 보면 설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히려 묘목은 기뻐하지 않는다. 같은 이치로 그것은 갑목을 기뻐하지만, 오히려 반드시 을목을 사랑한다고 할 수는 없다. 

 

계수는 음중의 음으로 인묘목을 보는 것을 기뻐하니 수목상관격이라 한다. 또 경신금의 부조를 좋아한다. 기토가 극해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무토가 합하는 것은 길이다.

 

병화의 사례)

갑병병갑 건

오인인자

 

농민인데, 노동을 좋아하지 않고 의지할 곳도 없이 항상 다른 사람을 위협해서 금품을 사취한다. 

  • 병화는 목왕이 화를 도우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
  • 년지의 수는 목에 설기를 당하여 화를 제어할 방법이 없다.
  • 가장 꺼리는 것은 오시인데 겁재가 득세하니 소인이 창궐하게 된다.

"효신이 겁재를 생하면 일하지 않고 재물을 취득하려 한다". 

  • 만약 사시에 태어나 록을 보았으면 (계사시), 자존심이 있게 되어 비록 지나치게 이기적이어서 (편인이 왕하니 이기적), 귀로 말할 수는 없으나, 또한 천함이 이와 같지는 않았을 것이다.
  • 중년에 남방 화지로 행하니 빼앗을 재가 없어 빈곤으로 세월을 보냈다.
  • 신미운에 기신을 합반하니 (오미합) 재를 얻었다.
  • 임신운에 효신을 충격하고 벽목하여 화를 생하니 궁색을 버틸 수가 없어서 아이들을 들볶아서 그들에게 돈을 요구하였다. (인신충. 자수 아이들-->인-->병)
  • 계유운의 후 5년에 호전하여 재를 보니 빼앗아 얻을 것이 있어 위조품을 팔아서 수입이 아주 좋았다. (유금 재성은 신금과 달리 인유절, 오유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