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십이지지

지지 육충 개요 - 손잡맹 (육충 3)

by tao12345 2022. 9. 17.

육충은 위치가 마주하여 응하는 것으로 오행은 서로 극하고(상극), 충돌하며, 서로 싸우는(상전) 뜻이 있다.

 

이러한 오행의 위치에 따른 충이외에도 지지 안에 감추어진 인원(지장간)에도 충극의 뜻이 있다.

자오충은 자수 중의 계수가 오화 중의 정화를 극하고, 오화 중의 기토는 자수 중의 계수를 극한다.

축미충은 축토 중의 신금이 미토 중의 을목을 극하고, 미토 중의 기토와 정화는 축토 중의 계수와 신금을 극한다.

진술충은 진토 중의 계수가 술토 중의 정화를 극하고, 술토 중의 신금은 진토 중의 을목을 극한다.

사해충은 사화 중의 경금이 해수 중의 갑목을 극하고, 해수 중의 임수는 사화 중의 병화를 극한다.

 

이러한 지지육충에는 이미 충이 있고 극도 있는 것과 충은 있으나 극은 없는 것이 있다.

자오충은 자수가 오화를 충극하지만, 오화는 자수에 대하여 충은 있지만 극은 없다.

묘유충은 유금이 묘목을 충극하지만, 묘목은 유금에 대하여 충만 있지 극은 없다.

인신충은 신금이 인목을 충극하지만, 인목은 신금에 대하여 충만 있지 극은 없다.

사해충은 해수가 사화를 충극하지만, 사화는 해수에 대하여 충만 있지 극은 없다.

이에 비해 진술충과 축미충은 둔장한 지장간끼리 서로 혼전하게 된다. 이때 진술축미의 본기는 충으로 인하여 허로 변하게 된다.

 

한편, 육충 중에서 수화의 충은 그 역량의 크기에 따라 서로 극할 수 있다. 수가 왕하면 화를 극할 수 있고, 화가 왕하면 수를 극할 수 있다.

그런데, 금수의 충은 금이 목을 극할 수는 있으나 목이 금을 극할 수는 없다. 

그리고, 묘고의 충은 고를 열거나 고를 제할 수 있다.

 

맹파명리는 천간의 상충도 말하는데, 갑경충, 을신충, 병임충, 정계충이 그것이다. 양자가 방향을 서로 마주보므로 상충하게 된다. 그런데 무기토는 중궁에 머물러 방향을 서로 마주보지 않기 때문에 충하지 않는다.

 

천간의 상충은 상극이 되며 제하는 뜻이 있다. 그래서 한쪽이 왕하면 상대방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천간의 충제는 일반적으로 상대방을 제사시킬 수가 없다. 다만, 합하고 극하는 상황하에서만 비로소 상대방을 제정하고 제사시킬 수 있다.

 

천간이 상충하는 작용에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가 있다.

충제를 통하여 주공한다.

원국에서 천간합하고 있는데, 충하게 되면 합이 깨진다.

천간 상합은 결혼 응기가 된다.

 

 

반응형

댓글